본문 바로가기
생활 정보

알뜰 교통카드 신청 방법

by 생정알 2022. 12. 29.

오늘은 내년 1월부터 새롭게 시행하는 내 건강도 지키고 교통비도 절약하는 방법이 있는데요.

 

저소득층은 월 최대 3만 9,600원으로 상향 지급되며 최대 47만 5,000원을 지원하는데요. 전 국민은 최대 23만 원, 청년층은 최대 34만 원의 요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오늘은 2023년에 새롭게 전국에서 시행하며 전국민이 해당되는 알뜰교통카드라는 제도에 대해 정보를 드리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대중교통을 이용할 때, 걷거나 자전거 이동 거리만큼 마일리지 적립 및 지급받을 수 있는데요. 단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국토교통부에서 밝힌 확정 자료를 보게 되면 내년 1월부터 저소득층과 청년층에 대한 알뜰교통카드 혜택을 대폭 강화한다고 밝혔습니다.

 

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저소득층은 최대 50%까지 청년층은 최대 38%까지 이용요금을 절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마일리지 적립 기준

 

일반인 같은 경우

현행을 유지하며

 

1회 교통요금 2천 원 미만인 경우 250원까지, 2천 원에서 3천 원인 경우 350원, 3천 원 이상인 경우는 450원까지 적립받을 수 있으며

 

월 최대 1만 9,800원, 1년 최대 23만 원가량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청년층은

1회 교통요금 2천 원 미만인 경우 350원, 2천 원에서 3천 원인 경우 500원까지, 3천 원 이상인 경우는 650원까지 마일리지를 적립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저소득층의 경우

적립 기준이 상향됩니다.

 

저소득층은 1회 교통요금 2천 원 미만인 경우는 500원까지, 2천 원에서 3천 원인 경우 700원까지, 3천 원 이상인 경우는 900원까지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하며

 

한 달 최대 3만 9,600원이 적립되며 1년이면 47만 5,000원이 적립됩니다.

 

 

 

알뜰카드 마일리지 적립은 보행, 자전거 최대 800m 이동 시 월 상한 44회 적립됩니다. 800m 미만은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지급되며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지급됩니다.

 

알뜰 교통카드 신청 방법

 

 

 

 

신청 방법으로는 알뜰 교통카드 마일리지 홈페이지(https://www.alcard.kr/)에서 신청하시면 되며 신용카드 회사에서 카드로 발급하셔도 됩니다.

 

후불 카드는 신한카드 / 우리카드 / 하나카드이며 선불카드로는 제로페이 알뜰교통카드입니다.

 

 

마치며

오늘은 내 건강도 지키고 교통비도 절약하는 방법 누구나 대상인 교통비를 지급하는 알뜰 교통카드 제도에 대해 정보를 드렸습니다.

 

썸네일 이미지입니다
알뜰 교통카드 신청 방법

반응형

댓글